컴퓨터 칩 부족을 보도하는 한 기자는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운다"는 마크 앤드리슨의 말을 인용해서 이렇게 말했다: "소프트웨어가 세상을 먹어 치우고 있다면, 그 이빨은 (컴퓨터) 칩이다(If software is eating the world, chips are the teeth)." 컴퓨터와 스마트폰처럼 애초부터 칩이 있어야만 기능할 수 있는 제품을 넘어, 과거에는 컴퓨터 없이 작동했던 많은 것들이 칩을 탑재하면 기능이 향상되고 있다. 따라서 세상은 점점 더 많은 컴퓨터 칩을 요구하고 있다.
문제는 그런 칩을 만들 수 있는 반도체 제조업체가 대형화하면서 그 수가 급격히 줄어들었다는 사실이다. 애플을 비롯해서 많은 기업들이 반도체를 직접 설계한다고 하지만, 반도체를 설계하는 것과 만들어내는 것, 더 나아가 경쟁력 있는 가격에 만들어내는 건 완전히 다른 얘기다. 패브리스(fabless: 공장 없는)라고 불리는, 설계만 할 수 있는 기업들은 오히려 늘었지만 제조할 수 있는 기업은 극소수다. 설계와 제조를 모두 할 수 있는 (이런 기업을 IDM: Integrated Device Manufacturer라 부른다) 인텔이나 AMD 같은 회사들도 갈수록 대형 제조 전문 업체에 생산을 위탁하고 있다.
경쟁력있는 극소수의 대형 업체들만 생존이 허용되는 이 반도체 제조 경쟁에서 현재 살아남은 기업은 약 5개 정도이지만, 그나마 시장 점유율이 10%를 넘는 기업은 대만의 TSMC(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와 삼성전자뿐이다. 하지만 시장 점유율 55%에 다가가고 있는 TSMC는 흔히 '파운드리(foundry)'라 부르는 반도체 제조업의 원톱이다. "세계가 대만 하나에 의존하고 있다"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생산이 한 곳에 집중되면 공장은 커지고 규모의 경제가 만들어진다. 그만큼 효율적으로 되고, 제품의 단가는 떨어지고, 새로운 플레이어의 진입은 힘들어진다. 반도체 제조업은 그렇게 변화해왔다.
이 글은 유료 회원에게만 공개됩니다.
테크와 사회, 문화를 보는 새로운 시각을 찾아냅니다.
이게 우리의 마지막일까
이번에 발표된 IPCC 보고서에 따르면 인류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고, 상황의 악화는 피할 수 없다. 하지만 지금이라도 손을 쓰지 않으면 더 끔찍한 결과를 경험하게 된다는 것이 IPCC의 호소다.
칩 부족과 회복탄력성 (1)
요즘 자동차에는 수천 개의 컴퓨터 칩이 들어간다. 하지만 자동차용 칩은 높은 사양의 최신 제품이 아니기 때문에 요즘처럼 밀려드는 주문을 감당할 수 없을 때는 제조업체에 그닥 매력적인 제품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