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금 가족과 유럽을 여행 중이다. 내가 사는 곳이든, 외국이든, 아니면 고국이든 여행은 언제나 흥분되는 일이지만 그 목적지가 유명한 관광지일 때는 마음 한편에서 일종의 반감, 혹은 불안감 비슷한 게 든다. 남들이 다 하는 걸 나도 따라서 해야 하냐는 게 여행에 대한 반감이라면, 남들이 다 좋다고 하는 곳에 가서 실망하거나 남들만큼 즐기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게 불안감이다. 여행 한번 하면서 뭘 그리 복잡하게 생각하냐는 소리를 들을 만한 걱정이지만 나에게는 유명한 곳으로 떠나기 전에 그런 긴장이 든다.

이 긴장의 근원에는 내가 처음 해외여행으로 유럽 배낭여행을 다녔을 때의 경험이 있다. 그 당시에는 해외에 나가는 것조차 쉽지 않았던 터라 느긋하게 즐긴다기보다는 유명한 곳에 가서 사진을 찍고, 다음 장소로 이동하는 식의 여행이었다. 그러다가 다행히(?) 문제가 터졌고, 그걸 수습하는 과정에서 평생 기억에 남을 "진짜 여행"을 하게 되었지만, 그 여행을 시작한 지 며칠 만에 '이렇게 사진 찍고 이동하는 게 여행인 건가?' 하는 회의가 들었던 게 사실이다.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였다. 그리고 그런 긴장은 지금도 여행 전에 스멀스멀 나를 찾아오고, 이번 여행을 준비하면서도 그랬다.

그런데 이런 나의 마음을 이해한 듯, 뉴요커(The New Yorker)에 'A Case Against Travel(여행에 대한 반대 의견)'이라는 글을 게재했다. 글쓴이는 시카고 대학교 철학과의 아그네스 칼라드(Agnes Callard) 교수인데, 마치 내 속에 들어갔다 나온 것 같은 글이다. 물론, 나는 여행에 반대하지 않고 글쓴이의 의도도 여행을 하지 말자는 얘기는 아닐 거다. 하지만 우리가 쉽게 말하는 '여행하는 이유'가 얼마나 타당한 것인지 철학적으로 파고 들어가면 어떤 이야기가 나올 수 있는지 보여주는 글이라서 전문을 번역, 소개한다.